
넷플릭스 영화 추천 <“노예가 되거나 주인이 되거나” 기생충과 함께 계급을 비꼬는 인도판 기생충 영화! 화이트 타이거(The White Tiger. 2020) 21세기 세계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나라도 인도 부자와 거물이 가장 많은 나라도 인도 교육열이 높고 문화와 지적 수준이 높은 나라도 인도
하지만 지구에서 계급차별이 가장 심한 나라도 인도
가장 부유하지만 가장 차별이 심한 나라 인도를 한 단어로 표현한다면 카오스(Chaos)/혼동이 딱 맞는 표현일지도!
인구만큼 믿는 신의 수도 가장 많은 나라 인도에서
신의 발밑에서 태어나 신의 품으로 돌아올 때까지 평생 짊어져야 하는 계급이라는 속박
국내 영화 ‘기생충’에서는 빈부 신계급(재벌/서민)을 꼬집었다면
인도 영화 ‘화이트 타이거’는 사람보다 소가 높은 대우를 받을 정도로 계급이 뚜렷한 카스트 제도를 비판하고 있습니다.
정글의 동물 중 가장 희귀한 종류로 한 세대에 딱! 한 번만 나타나는 동물은?
바로 하얀 호랑이 백호.
카스트 제도의 맨 아래층이라 할 수 있는 계급이자 평생 싸구려 과자를 만들어야 하는 직업인 ‘할와이’ 신분인 주인공 바람(알다시 그랩, 공부명언)
어렸을 때 선생님이 너 백호 같은 애라고 하실 정도로
똑똑하고 영어를 잘하는 아이였는데 개울에서 용이 나오는 것도 어느 정도 돈이 있으면 가능한 일이었을까요?
넷플릭스 인도 영화 추천 ‘화이트 타이거 줄거리’
노예로 살 것인가 VS 백호 (화이트 타이거)
인도에서 하층민중에서도 과자를 굽기 위해 태어난 ‘주인공(바람)’은 아무런 의심 없이 주어진 노예계급을 받아들이며 살고 있는 어리석은 가족과는 조금 다르게 살고 싶었다.나름 열심히 공부도 했고 인정받고 기회도 잡았지만 자신(바람)부터 가족까지 돈벌이 수단으로만 보는 교활한 할머니 때문에 포기할 수밖에 없었다.
마치 노예 중에서도 또 다른 노예 계급이 있는 것 같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는, 할머니의 지시 아래 평생 카트만 끌고 돌아가신 아버지, 사슬에 묶인 노예처럼 다방에서 일하며 살아가는 형, 그런 형의 자녀까지 현실에 납득하며 아버지처럼 살고 있다.
수귀라는 말은 이 가족을 보고 하는 말일지도 모른다. 그렇게 노예처럼 살던 주인공(바람)에게 개울로 나갈 기회를 주겠다며 마을 지주의 막내아들이 손을 뻗친다. 바로 동네 최고의 부자 운전사로 취직하는 것이다.
우여곡절 끝에 기사 자리를 차지한 주인공(바람)은 작은 주인(=부잣집 둘째 아들)을 데리고 델리로 가게 돼 많은 일을 겪지만 종교의 노예, 계급의 노예에서 벗어나 진정한 자유와 정체성을 찾는 주인공(바람)의 이야기.
누구를 위해 핸들을 잡을까?
넷플릭스의 인도 영화 화이트 타이거는 간단히 말해 위 스틸컷 두 장으로 모든 설명이 끝난다는 사실! 늘씬한 흰머리를 자랑하는 주인공(바람)이 그의 과거 이야기를 들려주는 형식으로 구성돼 있다.
자신을 남자로 취급하지 않고 자유롭게 행동하는 핑키 부인과 미국 유학 후 자신을 동등하게 대하는 척 한 작은 주인을 위해 운전대를 잡는 충실한 하인으로 남을 것인가.
VS
닭장을 열어도 나오지 않고 그 안에서만 굽이굽이 돌아다니는 닭이 아니라 닭장을 뛰쳐나온 백호가 되어 머리로 우뚝 서서 나를 위해 운전대를 잡는 포만자가 될까.
주인공(바람)은 운명을 향해 싸우는 백호로 거듭납니다.
어떻게? 귓속말로 부자의 세계를 엿듣고 바로 실천에 옮긴 덕분!
누군가가 인도에서 계급을 탈출하려면 범죄 혹은 정치뿐이라고 말했대요.
주인공(바람)은 아내(핑키)에게 잘 보이기 위해 자신에게 관대한 척하느라 고생한 작은 주인(야쇼크)을 살해한 뒤 400만 루피(6천만원)를 탈취한 뒤 인도 실리콘밸리로 떠나
스타트업 택시 서비스를 통해 [화이트 타이거 드라이버즈]에서 승승장구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끝납니다.
닭장을 빠져나와 노예의 삶을 끝낸 보람은 주인인가. 하인이냐?
화이트타이거의 결말은
그는 화이트타이거 드라이버스로 성공한 사업가로서 케이지에서 벗어나 노예생활을 마쳤다며 피고인을 여러 명 두고 있지만,
여전히 자신보다 윗층인 경찰에 돈을 주고 인도를 방문 예정인 중국 총리에게 가볍게 무시당하지만,
그가 정말 닭장을 탈출한 백호가 되었는지는 모르겠어요… 앨리슨
저는 닭인지 백호인지 많은 생각을 하게 해주는 영화 화이트 타이거였습니다.영화 기생충과 비슷한 느낌이 드는 장면도 몇 개 있던데요!
발리우드의 최고 명작인 새얼간과 당갈 같은 역경을 딛고 다시 밝은 분위기에서 호호호 노래!+긍정 마인드를 생각하면 실망할 수도 있습니다.
중간에 코믹 요소가 있는데 메인은 사회의 부조리를 고발하는 사회 비판의 내용으로 유쾌하지 않은 흙수저 탈출기라고 보시면 됩니다.
주인공(바람)은 살인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거지 같은 인도 계급사회가 저를 이렇게 만들었어요.하지만 저는 순응하지 않고 이렇게 잘생겼어요.
반성 없는 뻔뻔한 태도가 경악했지만 권위주의 의식으로 황새가족(지주)이 주인공(바람)으로 삼은 것을 생각하면 통쾌하게 느껴지기 불편한 느낌.
하층민들이 부의 중심에 타는 방법이 꼭 살인과 범죄였는지 고민하게 하고 쉽게 자리를 뜨지 못하게 하는 영화였습니다.그 외에 영화의 연출력과 긴장감 넘치는 세련된 OST 주인공(바람)의 심리상태를 전혀 지루하지 않게 보여준 극의 흐름을 잘 만든 웰메이드 영화라 여름밤 넷플릭스의 볼거리를 찾으신다면 적극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