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대학원 입시 전문가입니다.오늘은 어디서도 들을 수 없었던 자율주행차 연구실에 진학하는 팁에 대해 공유하고자 합니다.
4차 산업혁명으로 AI, 로봇, 자율주행은 핵심 기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요즘 공대생들이 대학원을 진행할 때 인공지능, 로봇, 자율주행과 같은 분야의 연구를 관심 분야로 결정하는 추세입니다.
자율주행 자동차 연구실은 여러 대학원에 랩실/연구실이 존재합니다. 그러나 자율주행에 대한 제대로 된 연구를 하지 않는 연구실도 있으니 반드시 아래의 칩을 고려하여 확인하고 지원하는 것이 좋습니다.
- 지원하고자 하는 연구실에 국토교통부 인증 자율주행 임시운행면허를 가지고 있는 차량이 있는지 살펴봐야 합니다.
대부분의 연구는 한다지만 이런 인증을 받은 차량이 없고 실도로 환경에서 자율주행을 걸고 테스트를 할 수 없는 연구실이 있습니다. 이 경우 주로 시뮬레이션 환경에서 테스트를 수행합니다. 또한 국토교통부 인증 자율주행 임시운행 허가를 받기 위해서는 다양한 미션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 자율주행을 하기 위한 기술력을 갖추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기술이 없어 국토교통부 인증 자율주행 임시운행 허가를 받지 않은 연구실도 많습니다. 이점을 확인하고 진학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2. 자율주행 대회 경험을 쌓고자 지원하는 경우 자율주행 대회에 참가 또는 참가 경험이 있는 연구실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대회에 우승한 연구실이라면 더 이상 자율주행차 대회에 나가지 않은 적이 꽤 있습니다.진학하려는 연구실이 대회를 준비하고 있는지 꼭 확인하고 지원하시기 바랍니다. 국내 자율주행대회는 산업통상자원부 대회와 현대자동차 자율주행 챌린지가 격년으로 진행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무조건 우승한 연구실이 연구하기 쉬운 연구실이 아니라는 점을 참고하세요. 대회 경험을 쌓고 싶어서 왔는데 연구실 차원에서 대회에 더 이상 나가지 않으면 큰 기회를 잃게 되겠죠?
현대차, 현대모비스 등 자율주행 관련 직무는 이러한 경험을 중요시하고 있습니다.이런 경험이 있는 사람을 선호한다는 것을 스스로 느꼈습니다.3. 연구실원의 논문이 자율주행 관련 분야에 대해 사용되고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대학원생은 박사는 최소 4년, 석사는 최소 2년의 기간으로 학위를 취득합니다.본인의 학위 취득 기간과 선배들의 졸업 시기를 예측해 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박사과정 학생이 석사과정을 데리고 과제를 수행하는 구조입니다. 석사과정 진학 기준으로 말씀드리면 석사과정이 너무 적으면 본인에게 업무가 많이 주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3-4명이 하는 일은 혼자서 다 해야 하는 일입니다. 박사과정이 외국인이 많으면 그만큼 박사진학률이 없는 경우이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정리하면 1. 해당 연구실 석사과정 학생들이 박사진학을 많이 하는지 살펴보자. 박사 진학률이 좋을수록 좋은 연구실일 가능성이 높다.
2. 외국인 학생이 많은 연구실을 피하자.
3. 석사과정 학생이 오랫동안 들어오지 않았던 곳이나 왔다가 갑자기 많이 들어온 곳이 있으면 피하자.
4. 김박사 4행 평가 확인하자. 최근 들어 좋은 글이 많이 올라오고 있다면 학생들이 들어오지 않아 주작했을 가능성이 높다. 이는 세 번 갑자기 많이 들어온 곳이 있다면 피하라는 것과 일맥상통한다.
5. 지도교수의 전공분야를 확인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