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검사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고지혈증 증상 비리

안녕하세요 한국건강관리협의회입니다각종 심뇌 혈관 질환의 위험 인자인 고지혈증은 자각 증상이 없습니다.

고지혈증

혈액 속에 콜레스테롤과 지방질 성분이 많이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고지혈증을 방치하면 동맥경화가 되어 협심증, 심근경색, 뇌졸중 등의 심뇌 혈관 질환에 걸릴 확률이 높아집니다.

혈중 지질 종류 · LDL 콜레스테롤 (나쁜 콜레스테롤) · HDL 콜레스테롤 (LDL+ HDL) · 중성지방 고지혈증 : 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이 증가한 상태 이상지질혈증 : 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이 감소한 상태 * 엄밀히 말하면 고지혈증은 이상지질증에 포함된 개념입니다.

고지혈증의 증상

이상 지질 혈증 자체는 아무런 자각 증상도 나타나지 않습니다. 고지혈증으로 인해 심장·뇌혈관 질환 등의 합병증이 발생하면서 관련 증상이 나타납니다. 중성 지방이 증가하면 췌장염이 발생하여 그로 인한 복통을 호소하게 됩니다. 일부 환자분의 경우 아킬레스건이나 눈꺼풀에 노란색 종양이 관찰될 수 있습니다.

고지혈증 검사

증상이 없는 이상 지질 혈증은 혈액 검사로 진단을 할 수 있습니다. 최소 12시간 이상 단식 후 채혈하며 진단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진단기준, 총콜레스테롤200mg/dL이상,LDL콜레스테롤130mg/dL이상,중성지방150mg/dL이상

추천 검진

  1. 혈액기초검사 혈액질환, 철 결핍, 간기능, 류마티스, 당뇨, 고지혈증, 신장기능, 통풍, 심혈관계, 췌장, 갑상선기능검사

2. 심뇌혈관 정밀검사 기초 및 생리기능, 소변검사, 혈액질환, 고지혈증, 간기능 8종, 당뇨, 신장기능, 흉부촬영, 경동맥초음파, 심장초음파, 심장관동맥조영CT, 심혈관검사, 뇌위축도MRI, 뇌MRA

고지혈증 치료

정상치를 넘었다고 해서 약 치료를 시작하는 건 아닙니다. 개인별 상태에 따라 위험수준을 평가하고 치료목표를 설정합니다.• 흡연 · 고혈압(수축기혈압 140mmHg 이상 또는 이완기혈압 90mmHg 이상 또는 항고혈압제 복용) · 낮은 HDL콜레스테롤(40mg/dL) · 나이(남성 45세 이상, 여성 55세 이상) · 관상동맥질환 조기발병 가족력(부모, 형제, 자매 중 남성 55세 미만, 여성 65세 미만) * LDL콜레스테롤 제외

위험도 LDL 콜레스테롤 목표(mg/dL) 비HDL 콜레스테롤 목표(mg/dL) 저위험군 위험인자가 없거나 1개 160미만 중등위험군 위험인자 2개이상 130미만~160미만 고위험군 관상동맥, 경동맥, 말초혈관질환, 복부동맥류, 당뇨병환자 100미만~130미만

식이요법, 운동요법 등 생활습관 개선만으로 콜레스테롤 수치가 떨어지지 않거나 의사가 판단한 경우에 위험한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는 약물치료를 병행합니다.

고지혈증 환자 200만 명 시대, 증상이 없다고 해서 치료를 외면해서는 안 됩니다.

정기적인 건강검진으로 혈관건강에 유의하세요

본 게시판의 내용은 일반적인 의학정보를 재구성한 것으로 한국건강관리협회의 공식의견이 아닙니다.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 19 국내 발생현황 확정자 151,506명 (357명 추가확인) 21년 6월 21일 0시 기준 국내에서 발생한 신규 확진자는 317명, 해외 유입 사례는 40명이 확인되며 누적 확정자수는 151,506명 (해외 유입 9,568명) 입니다. 의심신고검사자수는 10,413명, 수도권임시선별검사소의 검사건수는 11,497건(확정자47명), 비수도권임시선별검사소의 검사건수는 1,271건(확정자4명)으로 총검사건수는 23,181건, 신규확정자는 총 357명 입니다. 신규 격리 해제자는 369명으로 총 143,268명(94.56%)이 격리 해제돼 현재 6,234명이 격리 중입니다. 위중증환자는 137명, 사망자는 2명이며 누적 사망자는 2,004명(치명률 1.32%)입니다.구분 총계 결과 양성 검사 중 결과 음성 확정 자격 뒤 해제 중 사망 6.20.(일) 0시 기준 10,335,634 151,149 142,8996,2482,002 131,06210,053,423,42368.21.(월) 0시 기준 10,346,047 151,506 143,2686,232,004128.

새로 확인된 357명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출처 – 중앙방역대책본부 [한국에서 발생한 확정자 현황(6월 21일 0시 기준, 20.1.3일 이후 누계)]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전북,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1271167114028872115213106, 806106106106, 18

[해외 유입 확정자 현황(6.21일 0시 기준, 20.1.3일 이후 누계)] 구분 합계(추정) 유입 국가 확인 단계 국적 중국 아시아(중국 외) 유럽·아프리카·오세아니아 검역 단계 지역 사회 내국인 신규 40033124012282713 누계 9,568794,7461,534,034,535.5%, 025.5%, 025.5%, 035.5%, 035.5%, 038794%, 038794%, 035.5%, 035.5%, 038794%, 035.5%, 035.5%, 035.5%, 038794%, 035.5%, 035.5%,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