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korea.kr/newsWeb/resources/temp/images/000249/680.jpg)
편도염을 경험하시는 분들이 굉장히 많은데 편도선은 면역계의 일부를 형성하는 림프 조직으로 목 뒷부분에 위치하고 있습니다.편도염이 나타나면 불편하지만 건강에 큰 이상은 없지만 약을 먹지 않아도 대부분 10일 이내에 호전됩니다.가끔 합병증을 일으키기도 하는데 이때는 구토, 통증이 심해질 수 있고 심리적, 신체적 스트레스가 상당히 클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하게 회복해야 합니다.그래서 오늘은 편도염 증상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편도선은 외부물질에 대한 최초의 방어 역할을 하고 있어 감염에 취약하다고 할 수 있지만 편도염은 세균성이기도 하며 보통은 바이러스성으로 나타납니다.편도염은 전염성이 있고 주변 사람에게 전염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하지만 건초염이나 부비강염 같은 2차 질병으로 나타나는 경우는 전염성이 거의 없습니다.
바이러스성 편도염의 원인 –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가장 자주 나타나지만 편도선을 감염시키는 가장 일반적인 바이러스 유형은 인플루엔자, 싸이 바이러스에 의한 감기, 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한 사스,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에 의한 급성 호흡기 감염, 일반적인 인후염 및 감기와 관련된 아데노바이러스 등이 있습니다.
![](http://cdn.kormedi.com/webeditor/2012-08/20120827195839.jpg)
자주 나타나는 것은 아니지만 종종 거대 세포 바이러스, 단순 포진 바이러스, 앱스타인 바이러스 등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세균성 원인 – 편도선을 감염시키는 가장 일반적인 박테리아 유형은 화농연쇄구균입니다.대부분의 경우 클라미디아 폐렴, 마이코플라즈마 폐렴, 황색포도상구균, 프소박테리움, 보르데테라파투시스 등의 세균에 의해 야기될 수 있습니다.
편도염 증상 – 수면 장애 – 피로감과 높은 열감 – 고름이 가득한 반점이 있는 적색, 편도선 붓기 – 음식, 침 삼킬 때 목 통증 – 부은 림프선 – 오한과 기침 – 목, 귀 통증
가끔 구역질, 구토, 복통, 구취, 목소리 변화, 입을 열기 어렵거나 통증이 나타나기도 합니다.만약 목이 딱딱해지거나 근육 약화, 이틀 이상 지속되는 심한 인후염, 39도 이상의 열이 발생하면 빨리 내원하시기 바랍니다.
![](https://www.nhimc.or.kr/mobile/webzine/201504/image/img_05_02.jpg)
편도염 증상과 원인에 대해 알아봤는데 참고하셔서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