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임상실습은 재활병원에 다녀왔다. 8주 실습은 큰 무리가 없었지만 1차 실습과 달리 처음 해보는 병원 실습이라 걱정되는 부분이 많았다.좀 대비하려고 교재도 준비했고 페더리티해서 평가책을 다시 읽기도 했다.
▶이 책은 임상지침서에 대해 다룬 도서입니다. 임상의학의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www.kyobobook.co.kr
만약 병원 실습을 나가려는 친구가 있다면 이 책을 가지고 가는 것도 좋다.절판돼 구할 수 없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해당 출판사에서 대량구매를 신청하면 배송되는 것으로 알고 있다. 교보문고에 입고될 수도 있으니 참고하면 좋겠다.대체할 책으로 아래에 이 책도 있는데 포인트 부분이 조금 부족한데 정신이나 아동에 대한 설명이 좀 부자연스럽게 쓰여져 있어 나쁘지는 않지만 단순한 참고 용도로 사용하면 좋을 것 같다.[마인드북] 마음을 읽는 책 마인드북 smartstore.naver.com
처음 실습하는 실습과는 달리 집 근처 재활병원이 있어 출근했다. 출퇴근을 위해 실습 기간에는 지역 이동을 자제할 것과 지인과의 모임을 줄일 것을 요구받았다. 주말에 과제하거나 기절하거나 하느라 바빴어.
Case 신경계 클라이언트이지만, 대부분 Case의 경우 CVA 클라이언트가 많았다. CVA를 수반해, Dysphygia 치료가 약간 많은 편이었다. 학교에서 Dysphagia를 배우지 않고 공부할 수 있는 좋은 기회 여기도 했다.병원마다 다르지만 MBI, MMSE, HFT(hand function Test), Sansation, MFT(Manual function Test)을 주로 사용하고 LOTCA나 MMDT(미네소타 맨손 민첩성 테스트)를 보유하 시옷우나 실제로 사용하지 않고 치료적 도구로 많이 사용하셨음.
병원에서 실습을 가게 되면 대략적인 치료 도구 이름에 대해서 알아 가야 할 것(대략적으로 어떤 이름)파테나(가끔 퓨티 모두 해도 속셈)ROM ARC를 많이 하기도 했으며 Greamizer를 가지고 딱딱하게 하거나( 많은 무게)Pegboard등 다양하게 사용하고 데락죠크에 이름을 알아 가는 것도 좋을 듯.( 모른다면 칼처럼 모르거나 위치라도 듣고 픽업하면)
치료 클라이언트의 동의를 얻어 촉진을 하거나 가끔은 치료 참여할 기회를 주기도 했다.가장 기억 남는 것은 한 선생님이 실제로 Hemi클라이언트 Manual(잠깐이지만)와 Tacktile ball이용하고 Edema제거하는 일을 하기도 했다. 치료 전반적으로 오프 죠를 하거나 Tesk oreantation을 참여하기도 했다.
주로 질문을 받았다-연하-Dysphagia는?/OTT, PTT(인두, 후두기 그리고 식도기 이동하는 시간)/AFA작용 원리(Anterior Forcial Arch)/구강 반사/구강 단계(구강 전기~식도기)/아이스 스틱을 적용하는 이유/바이브레이터를 적용하는 이유/후두 상승 때문에 어떤 활동을 할까?/Vital stim의 적용의 위치/레몬 주스를 적용하는 이유/chin tuck을 하는 이유/보상적 접근 4개/멘델이 기법, 마사코의 수법, 실반 케오 운동/죠쟈크궁 4개/입 주위 근육 4개/vital stim을 공에 부착하는 이유/잇몸 사이에 음식물이 남아 있는 이유/aspiration/penetration/연하 반사 촉진시키는 방법/풍선을 불 이유? /연하 장애 환자가 음식을 섬 쿄쯔울에 유산이 남는 공간은?/퓌레에서 액체로 넘어가는 시기/
-근 골격-Subluxation발생 원인 오십견과 Sub의 차이/Rotate Cuff Muscle/윗팔의 근육 질문(Biceps Brichialis, Radialis, Deltoid, Triceps)/허리 작용 질문(Trapezius, Latismus dorsi…)/Scapular의 움직임, 근육 모션/Shoulder의 모션/Trunk을 닫기 위해서는 어떤 동작을 해야 하는가?/Seratus anterior/손, 발 Arch/knee extention/ankle planta flexion muscle/후 노프다리궁 3개/Triceps/Shoulder Gurddle?/Thenal&Hypo thenal/Spasitic, Rigiditi차이/-질환-CVA유형, Strock(hemi기준)의 질환 자세/TBI의 정의 유형/Weight Bearing(지면 어느 정도 지지하면 뭐라고? 말하기)/SCI Key muscle&동작/impingement정의, 통증 호발하는 근육/골다공증이란?/Apraxia?/소뇌 손상이란?/Edema/ACA, PCA, MCA/과사용 증후군/-평가-MBI, 총점 점수 각 영역별 점수/MFT의 수행 방법/Sansation죠크용 방법/글라스 고우 혼수 척도/PTA시간별 반응/랜초 손실 아미고 인지 척도/Asis장애 척도/Attention종류/GDS의 특징/MAS단계별 특징/Brunstrom단계/Bobath단계/MMSE진단 기준, MMSE-k, K-MMSE차이/
-기타-12신경 All, T-tube의 종류와 사용한 이유/실어증/ 조음 장애, PD/Treamer유형의 유형별 대표 질환/Treamill사용시의 움직임/Tack tile ball을 맞추어 이유/Grib형식/AM&AR(연합 운동&연합 반응)/posture position에 대한 설명/NG-tube설명/
선생님들이 질의하고 주신 것을 쓴다(기억 나는 것만)와 제위의 내용을 답하지 않으면 공부하거나 상기의 내용을 더 공부하고 달라는 뜻에서 간단한 과제를 내주시고 이와 별도로 치료실에서 준비한 과제(질환과 평가, 연하 등)을 내주기도 했다!(제출일이 말 아니면 내일 제출하고, 없으면 다움오프죠, 언제까지 해오라고 말했다.)가끔 과제가 하루에 집중하기도 일쑤였다 ㅠ
SOAPSOAP는 환자 사례를 하나 직접 평가하는 것도 자료를 주신 후에 SOAP 쓰고 온다고 했고, 피드백은 주로 다음 날을 하고 주는 대목이 있었음. 원래 다른 병원은 케이스 사적이라고 하면 전에 한두번 정도 하고 주는데 치료사 선생님이 신경 쓰고 주기 때문에 몇번이나 피드백을 받을 기회가 많았다. 사례의 경우 기억하고 있다니 그 환자 분을 한번이라도 더 보려고 오프죠 한번 더한 경우가 많은 것.
다른 과제. 다른 과제는 논문 분석했지만 논문 내용을 의사 선행 논문을 조사하고 그 논문과 비교하거나 또는 주어진 논문을 발표한다. 논문마다 등급이 있다는 점과 선행 논문을 예시로 제시한다면 해외 논문이나 좋은 논문을 가져오라는 부분이 있었던 점. 기억에 남는 일이나 명절 선생님들이 맛있는 것을 많이 챙겨주시고 실료고 하는 부분이 너무 감사하다는 점(많이 먹었지만 위염과 스트레스 충분히 못자서 많이 안 먹어서 많이 안 먹게 되서 죄송할 따름이었던 점), 군 휴학 후, 명절 때 선생님들이랑 비슷한 점이 너무 감사하다는 점(많이 먹었는데 위염과 스트레스 충분히 잠을 못자니 실습해서 많이 안 자는지 두 분이 안 자는지 많이 안 자는지 선생님들이었던 점. 이 때문에 선생님들과 친해지는 좋은 점이기도 했지만 내 입장에서는 선생님이기 때문에 공손해야 할 부분이 좀 이상하지 않은 앗울까 하는 부분이었던 것. 환자분들이 음식을 많이 드시고… 배가 터졌어요.
TIP? 3대 질환은 임상지침서와 페드 택리티는 읽고 가면 되는 것처럼 재활치료에서는 디스페그리아에 대해 공부하면 될 것 같다. 학교마다 배우는 교과과정이 다르기 때문에 이들 부분은 말하고 배울 수 없었다고 어필할 것이다. 모르는 부분은 적극적으로 어필해 공부한다고 하면 될 것이다. 옛 동기나 선배들이 실습할 때와는 조금 달리 편안한 분위기일 것 같다. 얘기도 많이 해주시고 많이 점차 변화하는 부분이 있는 것 같다. 실습에는 너무 걱정하지 않아도 될 것 같아.환자는 실습생의 존재를 알고 있지만, 간병인 분이나, 보호자는 병원 근무자라고 생각하는 분이 많기 때문에, 행동이나 다른 부분에 주의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