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백내장’은 눈에 보이는 퇴행성 질환입니다. 카메라 렌즈에 해당하는 눈의 수정체가 흐릿해져 시력 장애를 비롯해 다양한 건강 문제를 일으킵니다.
심한 백내장의 근본적인 치료법은 탁한 수정체를 제거하고 깨끗한 인공 수정체를 삽입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백내장 수술 결과가 다 좋은 것은 아닙니다. 환자가 가지고 있는 다른 눈의 질병이나 건강 상태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굴절 이상 등의 부작용도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최근 인천 가천대 길병원 안과 김동현 교수팀이 백내장 수술 전 안구건조증을 개선하면 치료 효과가 더 긍정적이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김동현 교수의 도움으로 백내장의 특징과 수술 전 안구건조증의 적극적인 관리가 중요한 이유에 대해 알아봅시다.


백내장은 투명해야 할 눈의 수정체가 탁해져 잘 보이지 않게 되는 눈의 질병입니다. 수정체가 탁해지는 가장 많은 원인은 노화로 인한 노인성 백내장입니다. 또한, △선천성△외상성△당뇨병 합병증 등 백내장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다양합니다.
백내장의 주요 증상은 눈에 먼지나 안개가 낀 것처럼 뿌옇게 보이는 시력 장애입니다. 백내장을 방치하면 녹내장이 동반되거나, 과숙 백내장으로 악화되어 눈 속이 염증을 일으킬 수도 있습니다.
백내장은 수술로 탁한 수정체를 제거하고 깨끗한 인공수정체를 눈 속에 넣어 치료합니다. 이 과정에서 삽입되는 투명한 인공수정체의 도수에 따라 기존의 근시·원시·난시를 교정할 수도 있습니다.
안과 김동현 교수는 백내장이 있다고 무조건 조기 수술을 하는 것이 좋다는 것은 아니며 시력 저하나 흐릿한 증상을 체감할 수 있을 정도로 악화됐을 때 진행하는 것이 적절하다며 수술 시 당뇨병, 녹내장, 포도막염 등의 질환을 앓은 환자는 수술 후 부작용이 더 크게 생길 수 있으므로 숙련된 안과 전문의에게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한다고 설명했다.백내장 수술시 부작용에 주의해야 할 병력, 당뇨병, 녹내장, 포도막염


백내장 수술은 고령화 때문에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수술 시 환자의 정확한 인공수정체의 도수를 예측하는 것이 수술 후 선명한 시력을 얻기 위한 필수요소입니다.
최근에는 노안 교정을 위한 프리미엄 인공 수정체가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 때 도수 예측은 보다 중요한 부분이 됩니다. 또한 안구건조증 등 백내장 수술을 받는 환자의 눈의 건강상태도 수술 결과에 큰 영향을 줍니다.
백내장 수술전에 안구건조증을 치료한 환자의 수술결과가 처치를 받지 않은 환자에 비해 더 좋다는 연구결과가 나왔습니다. 안구 건조증 처치를 수술 후가 아니라 수술 전에 한 연구는 이번이 처음입니다.
가천대길병원 안과 김동현 교수, 김진수 전공의는 백내장 수술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전 안구건조증을 2주간 적극적으로 치료한 결과, 수술 후 인공수정체 도수 예측의 정확성이 유의하게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안과 김동현 교수는 “안구건조증은 환자에게 불쾌감을 줄 뿐 아니라 백내장 수술 전 각막 계측 검사에 오차가 생겨 인공수정체의 도수 결정에도 영향을 준다”며 “백내장 수술 전 안구건조증에 의한 각막 계측 오차는 문제가 될 수 있다.


김동현 교수 팀은 총 105명의 환 자를 A, B군으로 나뉘고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A군 52명은 안구 건조증에 많이 사용하는 점안 스테로이드 제제나 점안 시클로스포린 제재로 치료해서 수술 전의 2주 눈꺼풀의 세탁을 시행했습니다.
B군 53명은 이런 치료를 하지 않습니다. 연구 팀은 두 군의 평균 절대 오차(MAE)술 후 큰 굴절 이상(0.75D이상)빈도 등을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A군의 평균 절대 오차(MAE)는 0.23±0.19D(SRK/T도수 공식), 0.24±0.19D(Barrett UniversalⅡ번 수 공식)이었습니다.
한편 B군은 0.42±0.33D(SRK/T도수 공식), 0.38±0.34D(Barrett UniversalⅡ번 수 공식)로 수술 전 처치가 열린 A군의 평균 절대 오차보다 유의로 커졌습니다.백내장 수술 전의 안구 건조증의 치료 효과 ① 안구 건조증 치료를 받은 A군-SRK/T도 공식적으로 더 큰 굴절 이상:두-Barrett UniversalⅡ번 수 공식에 더 큰 굴절 이상:한명 ② 안구 건조증의 치료를 받지 않는 B군-SRK/T도 공식적으로 더 큰 굴절 이상:9명-Barrett UniversalⅡ번 수 공식에 더 큰 굴절 이상:8명, 수술 후 큰 굴절 이상은 SRK/T도 공식으로 A군이 둘(3.8%), B군이 9명(17.3%)에 발생하고 안구 건조증 쵸치궁의 굴절 이상의 빈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또 다른 도수 공식 Barrett UniversalⅡ에서도 수술 후 큰 굴절 이상의 빈도는 A군이 한명(1.9%)인 반면, B군은 8명(15.4%)에 이르렀습니다. 안구 건조증에 사용한 안약은 환자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었으며, 특별한 부작용은 없는 오쏘 스프니다다.
김동현 교수는 “백내장 수술 후, 안구 건조 증상 악화와 관리에 대한 연구는 많다”,”그러나 이번 연구는 수술 전의 안구 건조증에 대한 적극적인 처치가 수술 후 향상된 굴절 예측도를 보이고 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라고 강조했습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안과 SCIE국제 저널인 ‘BioMed Central ophthalmology’최신호에 게재되어 주목되었습니다.도움말 가천대 길 병원 안과 김동현 교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