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 신부전증 환자에게 관상동맥 석회화

* P 배설능력이 저하되고 축적됨에 따라 CKD-MBD가 발생하게 된다.* Hyperphosphatemia -> Endothelial dysfunction or calcification -> Atherosclerosis and valvular disease -> Cardiovascular eventsHyperphosphatemia 뿐만 아니라 Hypercalcemia 도 vascular problem을 유발한다.* CKD G3a-G5D 환자에서 vascular calcification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Lspine Lat.valvular calcification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Echo 그 외 대안으로 CT 시행해 볼 수 있다.

* CPP1은 vascular calcification을 예방하는 효과를 나타내는데, uremic status에서 calcification을 조장할 수 있는 CPP2에 transition된다.

Calcification방어인자: Matrix G1aprotein, Fetuin-A, Klotho, Pyrophosphate, Osteopontin-CKD 환자에서 방어인자가 약해지기 때문에 이를 강화함으로써 Calcification의 치료목표 Calcification강화인자: Osteocalcin, Alkalinephosphate, Inflammatory cytokines, Runx2-CKD 환자에서 강화인자가 심해진다.

* Noncontrast CT-based imaging은 medial, intimal wall 구별이 어렵다 Plan ar x-ray는 정량 표현이 어렵다는 점과 calcification이 심할 때만 보인다는 단점이 있지만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다 Ultrasound: 간단하지만 정량 평가가 어렵다 IBUS: 제일 좋지만 invasive하다

* 죽상동맥경화증: 혈관벽의 intima에서 발생하는 석회화아테롬성동맥경화증Cap이 약해진다면 파열 되면서 협심증, MI, 심장 돌연사 를 유발하게 된다동맥경화증: 혈관벽의 중성인산칼슘, 혈관경직, 변·심근석회화, 맥압, LVH, 로인 CHF, 심장 돌연사를 유발하게 된다

* CAC와 CAG 상에서 coronary stenosis의 severity 사이에 상관량의 상관관계가 있지만 16%의 severestenosis에서는 CAC가 높지 않았습니다

* 붉게 보이는 것이 rupture lipid이지만 CT상에서는 D가 C보다 더 stenosis가 심해 보이지만 IBUS상에서는 rupture risk는 C가 더 높다. 실제로 rupture risk 와 CT 상에 보이는 calcification과 correlation을 할 수 없다.Positive calcium scan을 나타내는 환자에서 vessel stenosis와 calcification score 사이에 상관관계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CACS가 0인 환자에서는 stenosis NPV 87.5% -> CACS가 0이면 stenosis가 없을 확률이 높다.

* CACS와 stenosis 사이의 관련성은 낮지만, CVEvents와의 관련성은 보인다.

* 10YASCVD risk 평가에서 7.5~20%에 해당하는 군에서 CACS를 추가 적용하면 0일 때와 0보다 클 때 나누어 statin 사용에 대한 전략을 좀 더 세분화 할 수 있다

* CKD 환자에서 CACS가 높을수록 CVEvent가 증가한다* CACS와 BMI는 CKD progression risk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그러한 연관성은 고령, 당뇨병 환자에서 더 뚜렷하게 나타나는 Comment)*statin은 CVEvent를 예방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calcification 치료로 사용하는 것은 부적절하다 CACS가 0인 경우 negative value가 크기 때문에 CVEvent 예방을 위해 statin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제37회 연세의대 신장내과 연수강좌 연세의대 윤혜련 교수 50m NAVER Corp. 더 읽기 / OpenStreetMap 지도 데이터 x NAVER Corp. / OpenStreetMap 지도 컨트롤러 범례 부동산 거리 읍·면·동·시·군·구·시·도 국가

윤병국 내과의원 대전광역시 서구 계룡로 63 35층, 6층 예약

윤병국 내과의원 대전광역시 서구 계룡로 63 35층, 6층 예약윤병국 내과의원 대전광역시 서구 계룡로 63 35층, 6층 예약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