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가 시큰거리는 통증 때문에 위장염을 의심하고 위내시경을 받아보지만 아무런 이상도 발견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위에 문제가 없는데 명치 부분이 체한 것처럼 답답하고 통증이 있다면 담석증을 의심해 보면 좋을 것 같은데 과연 담석증은 어떤 질환일까요?
오늘은 담석증의 원인과 증상, 치료(통증, 수술)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담석증이란?
담석증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담낭과 담즙에 대해 알아두면 좋은데, 간 밑에 있는 작은 주머니 모양을 담낭이라고 합니다. 담낭 안에는 담즙이라고 하는 액체가 있습니다. 담즙은 간에서 만들어진 후 담낭 속에 저장되며 우리가 음식을 먹으면 총담관이란 관을 통해 십이지장으로 흘러가 지방음식 소화, 콜레스테롤 대사, 독성물질 배출 등의 생리적 기능을 합니다.
담즙의 성분은 콜레스테롤, 지방산, 담즙산염의 3가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의 구성 비율은 생체 내에서 정확하게 조절된다고 합니다. 이런 성분 비율에 변화가 생기면 찌꺼기가 생기는데 이 찌꺼기가 굳어서 돌처럼 딱딱하게 응고하는 것을 담석 또는 담석증이라고 합니다.
담석증의 원인
© theeastlondonphotographer, 출처 Unsplash
담석증은 크게 콜레스테롤 담석과 색소성 담석으로 나뉘는데 종류에 따라 그 발생 원인이 다르지만 콜레스테롤 담석증의 원인에는 비만과 체중의 급격한 감소, 저단백, 고콜레스테롤식, 단식 및 임신으로 인한 담낭운동 저하, 약물 및 장기간의 정맥영양요법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색소성 담석증은 흑색선과 갈색석으로 나뉘는데, 흑색석의 원인은 만성 용혈로 인해 담즙 내 빌리루빈이 증가하는 경우나 간경변과 같이 담즙산염의 생성과 운반이 감소하는 경우에 발생합니다. 갈색석의 경우는 담관감염과 담즙울체와 깊은 관련이 있는데 아시아와 농촌, 그리고 노년 시기에 많이 발생한다고 합니다.
과거 우리나라는 다른 동양 국가들처럼 색소성 담석증이 많았는데 이는 세균이나 간흡충증, 회충 등의 기생충 감염과 관련이 있습니다. 또한 주식인 쌀밥 등의 탄수화물 중심의 식생활 습관도 원인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1980년대 이후 식생활 변화로 인해 색소성 담석증보다 콜레스테롤 담석증이 점차 많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담석증의 증상
담석증의 60~80%는 증상이 없다고 합니다. 담석증의 증상이 있는 경우 가장 특징적인 것은 담관동통이고 담석증의 통증은 출산만큼 괴롭기 때문에 담석동통이라고도 불립니다. 담관동통의 특징은 명치와 오른쪽 윗배에 발생하는 지속적이고 심한 통증 또는 중압감이며 오른쪽 견갑 아랫부분 날개뼈 아래나 어깨쪽으로 통증이 퍼져 나간다고 합니다.
대개 담석증의 통증은 갑자기 시작되고 1~6시간 지속되며 서서히 또는 갑자기 통증이 소실됩니다. 오심과 구토 증상이 자주 동반되지만 발열이나 오한 등이 동반될 경우 담석증의 합병증으로 담낭염이나 담관염 등의 발생 가능성을 염두에 둘 수 있습니다.
담석증 진단
© freestockpro, 출처 Unsplash
담석증 진단을 위해 일차적으로 실시하는 검사는 복부 초음파 검사입니다. 초음파 검사는 담낭담석증에 대한 민감도 및 특이도가 가장 높은 검사로 담낭염과 같은 담낭담석의 합병증 진단에 도움이 됩니다. 내시경적 초음파 검사는 복부 초음파로 확인할 수 없는 미세한 담석증이 의심되거나 동반된 담관 담석증을 진단할 때 도움이 됩니다.
담석증 치료 증상이 없는 담석증은 진행성 질환을 동반한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증상이 나타나는 대로 치료를 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증상이 있는 담석은 통증이 재발할 확률이 높고 합병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치료하는 것이 좋습니다.
- 수술치료 담석증의 수술치료에는 개복담낭절제수술과 복강경담낭절제수술이 있습니다. 복강경 담낭 절제 수술은 수술 후 통증이 적고 입원 기간을 단축하며 수술 상처가 경미하고 회복이 빠르다고 합니다. 하지만 과거에 상복부에 개복수술을 한 적이 있으면 장기 유착이 심해 개복수술을 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또한 복강경 담낭 절제 수술을 실시하여 합병증이 생긴 경우는 개복 수술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 towfiqu9999, 출처 Unsplash
2. 내과적 치료 담석증의 내과적 치료 방법에는 경구 용해 요법과 약물 치료 방법이 있습니다. 경구 용해 요법은 UDCA와 CDCA와 같은 경구용 담즙산을 투여하는 치료가 있습니다. 주로 콜레스테롤 담석증으로 크기가 10mm 이하인 경우에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약물로 치료할 경우 담석의 크기가 10㎜ 미만이면 이것이 완전히 녹을 확률은 30% 정도로 평균적으로 한 달에 1㎜ 정도 작아진다고 합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색소성 담석증의 비율이 높고 치료 성공률은 이보다 낮다고 합니다. 담석이 녹은 후에도 재발할 위험이 있다고 합니다.
경피적 담낭 담석 제거 수술은 초음파를 보면서 피부를 통해 담낭에 구멍을 낸 후 담관 내시경을 이용하여 담낭 담석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성공률이 높지 않고 합병증의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제한된 경우에만 시행됩니다.이상담석증의 원인 및 증상, 치료(통증, 수술)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았으나 담석증을 예방하는 최선의 방법은 규칙적인 식생활과 균형 잡힌 식사를 통해 지방과 콜레스테롤 섭취를 줄이는 것으로 가능한 기름진 음식과 자극성 식품은 절제하고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여 비만을 예방하는 것이 좋습니다.
담낭 용종에 대해 알고 싶다면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 주십시오.
담낭에 생긴 혹의 담낭 용종은 성인 10명 중 1명이 가지고 있을 정도로 매우 흔하다고 합니다. 과거에 비해 지…m.blog.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