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녹내장의 초기 증상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반적으로 이 질환은 안압 상승으로 인해 시신경에 눌려 있거나 혈액 공급에 문제가 생겨 기능에 문제를 유발하는 질병입니다. 시신경이 하는 것은 눈으로 받은 빛을 뇌로 전달해서 보여주는 신경인데 여기에 장애가 발생하면 시야 결손이 일어나고 말기에는 시력을 잃을 수 있습니다.
녹내장 중에서 개방각은 전방각이 누르지 않고 정상적인 형태를 유지한 채 생기는 것입니다. 폐색각은 갑자기 우측 후방 압력에 의해 홍.라켓이 각막 쪽으로 이동하고, 전반각이 눌려 생기는 것을 의미합니다. 각막 후면과 홍채 전면이 이루는 갓을 전방각이라고 하며, 이것이 눌리면 방수 배출이 일어나는 통로가 막히므로 빨리 중.압력이 올라가는 거죠.
녹내장의 원인이 발생하는 주요 원인은 안·압·상승에 의한 시신경 손상으로 생각됩니다. 하지만 아직 질병을 유발하는 정확한 이유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이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간단히 설명하자면 축구공과 비교를 해보겠습니다. 안에는 공기가 많아도 안 되고 적게 들어가도 안 되는 것처럼 눈 모양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눈 내부에서도 적절한 압력이 지속되어야 합니다. 너무 적어지면 안구 위축이 일어나고 높아지면 손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
안압은 주로 방수에 의해서 결정되는데 홍채 뒤쪽 형체라는 조직에서 매일 조금씩 만들어지고 생성된 만큼 순환을 통해서 눈 밖으로 나오게 됩니다. 너무 많이 만들거나 흐름에 문제가 생겨 배출이 적어지면 눈의 내부 압력. 힘이 상승합니다. 이런 단계를 통해서 녹내장이 되는 거죠. 평소 고혈압이나 심혈관질환이 있거나 가족력이 있는 경우 발병률이 높습니다.
녹내장의 초기 증상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원전 개방각, 정상 안압 녹내장은 만성적으로 천천히 시·신경·손상이 일어납니다. 이로 인해 손상이 진행되지만 주변 시야에서 반응이 먼저 나타나고 중앙부는 말기까지 보존되는 경우가 빈번합니다. 흔히 소리 없이 찾아오는 실명으로 표현하기도 하지만 초반에는 자각 증상이 거의 없어 후기가 되어서야 알아차릴 때가 많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조기 발견은 어렵습니다.
원전 개방각 녹내장은 눈 양쪽에 생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피해 정도는 차이가 있는 경우가 많은데 한쪽 눈으로 작업을 하거나 민감하면 드물게 검게 보이는 부분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이른 아침 또는 밤 늦게 눈이 나빠져 머리 통증과 안통을 호소하기도 합니다.
주위의 사물이나 돌발 상황에 대처할 능력이 부족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계단에서 헛디뎌 넘어지거나 낮은 문턱이나 간판에 머리를 부딪히기도 합니다. 그리고 운전 중에 신호등이나 표지판이 잘 보이는 현상을 경험하기도 합니다. 우연히 이 병을 알게 된 환자를 보면 가끔 진단을 받았을 때부터 스스로 증상을 느끼기도 합니다.
예방하는 방법
사실 특별히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은 없어요. 가능하면 조기 검진을 통해 빨리 발견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약 나이가 40을 넘거나 유전, 당뇨, 근시, 원시, 당뇨, 저혈압 등이 있다면 동반할 확률이 높기 때문에 검사를 정기적으로 해야 합니다.
일상생활을 할 때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시간은 줄이도록 하고 몸에 꼭 끼는 옷도 입지 않도록 합니다. 머리를 아래로 길게 숙이는 것도 나쁜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음주와 흡연은 절대로 멀리합시다. 식단 계획을 세울 때는 과일, 채소 위주로 준비하도록 하고 운동을 꾸준히 실천하도록 합시다. 걷기와 자전거 등이 있기 때문에 몸 관리에 소홀하지 말고 챙겨줍시다.
지금까지 녹내장의 초기 증상에 대해서 정리를 해봤습니다. 알려드린 녹내장의 원인을 참고하여 눈이 나빠지지 않도록 관리하도록 합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