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들이 시즌에 많이… 20대 사고율 사망자율 1위 [2020 보도자료]음주운전 사고 연말에 가장 많으며 사망자는

음주운전 사고, 연말에 가장 많은 시험 사망자는 행락 시즌에 많고, 20대 사고율, 사망자율 1위…

지난해 음주운전 사고를 분석한 결과 사고는 12월 토요일 2224시에 가장 많고 사망자는 10월 목요일 0002시에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영교 국회 행정안전위원장(서울 중랑구 갑, 더블어민당)이 경찰청과 도로교통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3년간 음주운전 사고건수는 △ 2017년 19,517건 △ 2018년 19,381건 △ 2019년 15,708건을 기록해 지속적으로 줄고 있으나 올해 1~8월 음주운전 사고건수는 △ 2018년 19,381건 △ 2019년 15,708건으로 꾸준히 줄고 있으나, 지난해 상반기 169.65% 증가한 것에서 올해 1~8건, 지난해 상반기 음주운전 사고건수는 119건이다.

음주운전 사망자 수는 ▲2017년 439명 ▲2018년 346명 ▲2019년 295명으로 감소세를 보였다.

지난해 음주운전사고를 월별로 분석했을 때 ▲12월이 1,575건(10.0%)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11월이 1,531건(9.7%)으로 연말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사망자의 경우 △10월 31명(10.5%) △3월 30명(10.2%)으로 나들이철에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음주운전사고를 요일별로 분석해 보면 ▲토요일이 2,782건(17.7%)으로 가장 많았고 사망자는 △목요일(60명, 20.3%)에 많이 발생했다. 시간대별로는 22~24시에 사고가 가장 많았고(2,898건, 18.4%), 00~02시에 사망자가 가장 많이 발생했다(53명, 18.0%).

음주운전 사고를 가장 많이 발생시킨 연령대는 20대(3,669건,23.4%)였으며 사망자도 20대가 가장 많았다(69건,23.4%)

음주운전 사고 차량용 도별로 구분했을 때 비사업용 차량이 12,805(81.5%)로 대부분을 차지한 가운데 비사업용 차량 중 승용차 사고가 10,988건(70.0%)으로 가장 많았고 버스가 78건 어린이 통학버스도 6건이 뒤를 이었다. 사업용 차량의 경우 1,101건 중 렌터카 사고가 921건(5.9%)으로 가장 많았고 화물차 90건, 법인택시 40건, 개인택시 17건이었다. 이륜차도 1,294건으로 전체 8.2%를 차지했다.

음주운전사고를 시도별로 분석한 결과 사고발생은 △경기가 4,140건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 서울 2,190건△, 경북 1,060건△, 충남 1,019건이었다. 사망자는 ▲경기 71명▲, 충남 33명▲, 전남 27명을 기록했다.

서영교위원장은 “음주운전 사고가 감소세를 보이다가 최근 다시 증가하고 있다”고 밝히면서 “<윤창호법>통과로 음주운전에 대한 처벌수위가 높아졌음에도 불구하고 음주작량감경 등 안일한 인식에서 비롯된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사고 및 사망자가 많이 발생하는 연말이 다가오고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반면 서영교 위원장은 음주 상태에서 발생한 범죄라고 해서 형을 감경시켜 주는 고질적인 문제를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형법 일부개정 법률안, 일명 <조두순 방지법>이 대표적이다.(끝)

● 첨부자료 : 교통사고 사망자 수 관련 통계 (도로교통공단 제공, 서영교 위원장실 재가공)

  1. 음주운전사고 연도별 현황

2. 음주운전사고 월별 현황

3. 음주운전 사고 요일별 현황

4. 음주운전 사고 시간대별 현황

5. 음주운전사고 연령대별 현황

6. 음주운전 사고법규 위반 현황

7. 음주운전 사고 차량용도별 현황

8. 음주운전 사고 시도별 현황

error: Content is protected !!